엑소좀은 직경 약 30~150nm 크기의 세포 유래 소포체로, 세포 내 다중 소포체(multivesicular bodies, MVBs)에서 형성되어 세포 외부로 분비됩니다. 이들은 단순한 세포 부산물이 아니라, 단백질, 지질, mRNA, 비암호화 RNA(miRNA 등)를 포함한 다양한 생체분자를 운반하여 세포 간 신호 전달 및 정보 교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엑소좀은 면역 반응 조절, 항원 제시, 염증 조절, 면역 관용 유도 등 다양한 면역 관련 기능을 수행하며, 면역계 내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매개체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면역세포는 활성화, 분화 상태에 따라 특이적인 엑소좀을 분비합니다. 예를 들어, 수지상세포, T세포, B세포, 대식세포, 자연 살해세포(NK세포) 등 각 면역세포는 자신만의 특성에 맞는 단백질과 RNA를 포함하는 엑소좀을 만들어냅니다.
엑소좀 형성은 MVBs 내에서 내포소포(intraluminal vesicles)가 생성되고, 이후 MVB가 세포막과 융합하며 분비됩니다. 이 과정에서 ESCRT 복합체 및 Rab GTPase 등 분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정 신호에 의해 분비가 조절됩니다.
엑소좀은 면역 진단 바이오마커, 백신 및 면역치료제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암세포 및 면역세포 유래 엑소좀의 특성 분석을 통한 조기 진단과 예후 평가 연구가 활발하며, 엑소좀을 이용한 항암 면역치료와 자가면역질환 치료 전략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또한, 엑소좀을 약물 전달체로 활용해 면역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나노의학 연구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맞춤형 엑소좀 치료와 진단 기술이 면역질환 관리에 혁신을 가져올 전망입니다.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면역계 활성화 연관성– 세포 에너지 공장 미토콘드리아와 면역 반응의 복잡한 연결고리 (0) | 2025.07.22 |
---|---|
면역계 내 항상성 유지와 염증 해소 기전– 건강한 면역 균형을 위한 정교한 조절 시스템 (0) | 2025.07.21 |
인터페론 신호체계의 다양성과 면역조절 기능– 면역 방어의 선봉에 선 인터페론의 복잡한 역할 (0) | 2025.07.21 |
면역 신호 전달에서 비암호화 RNA의 역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숨은 분자들 (0) | 2025.07.20 |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아형별 면역 자극 특성 비교– 면역계의 ‘전령’ 역할을 하는 다양한 수지상세포 아형 (0) | 202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