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여행을 가고싶어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하와이 여행을 가고싶어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74) N
    • 의학 (174) N

검색 레이어

하와이 여행을 가고싶어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의학

  •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아형별 면역 자극 특성 비교– 면역계의 ‘전령’ 역할을 하는 다양한 수지상세포 아형

    2025.07.20 by nonose918

  • 대식세포(Macrophage) 분극화와 조직 특이적 면역 반응– 대식세포의 역할과 다양한 면역 기능 조절 메커니즘

    2025.07.19 by nonose918

  • T세포 내 대사 경로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T세포 기능과 대사의 긴밀한 연결고리

    2025.07.19 by nonose918

  • 면역 기억의 분자적 기초와 장기 유지 메커니즘– 우리 몸이 한 번 싸운 병원체를 잊지 않는 비밀

    2025.07.18 by nonose918

  • 면역관용(Immune Tolerance) 기전과 자가면역질환 예방 전략– 우리 몸이 자기 조직을 공격하지 않도록 하는 면역의 균형

    2025.07.18 by nonose918

  • 마이크로바이옴과 면역계 상호작용의 최신 연구– 장내 미생물이 면역 건강에 미치는 혁신적 영향

    2025.07.17 by nonose918

  • 면역 대사(Immunometabolism)와 면역세포 기능의 연관성– 면역세포 활동을 지배하는 대사 경로

    2025.07.17 by nonose918

  • 자연 살해세포(NK세포)의 분화 및 활성화 조절 인자– 선천면역의 핵심, NK세포의 생성과 기능 조절

    2025.07.16 by nonose918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아형별 면역 자극 특성 비교– 면역계의 ‘전령’ 역할을 하는 다양한 수지상세포 아형

① 수지상세포란 무엇인가?수지상세포(DC, Dendritic Cell)는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항원 제시세포(APC)입니다. 이들은 병원체를 인식하고 처리하여 T세포에게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면역 반응의 시작과 방향을 결정합니다.수지상세포는 다양한 아형으로 나뉘며, 각 아형은 특유의 면역 자극 능력과 조직 분포, 생리적 기능을 가집니다.② 주요 수지상세포 아형과 특징수지상세포는 크게 고전적 수지상세포(cDC), 플라스마세포 유사 수지상세포(pDC), 그리고 모노사이트 유래 수지상세포(mDC)로 구분됩니다.cDC1: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반응하며, 강력한 세포독성 T세포 활성화를 유도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cDC2: 세포외 항원을 처리하며, 주로 보조 T세포(Th1, Th2, Th17) 반응..

의학 2025. 7. 20. 08:22

대식세포(Macrophage) 분극화와 조직 특이적 면역 반응– 대식세포의 역할과 다양한 면역 기능 조절 메커니즘

① 대식세포와 분극화 개념대식세포는 선천면역계의 핵심 세포로, 병원체 탐지, 세포 잔해 제거, 면역 신호 전달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대식세포는 외부 자극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여러 상태, 즉 ‘분극화’를 보입니다.주요 분극 형태로는 염증을 촉진하는 M1형과 조직 재생 및 항염증 작용을 담당하는 M2형이 있으며, 이 두 상태 사이에서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② 대식세포 분극과 조직 특이성대식세포는 체내 각 조직에 존재하며, 조직 환경에 따라 특유의 분극 상태와 기능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폐의 대식세포는 공기 중 미세먼지에 대응하며, 간 대식세포(쿠퍼 세포)는 혈액 내 독소를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이처럼 조직 특이적 신호와 미세환경이 대식세포 분극을 결정하며, 이는 그 조직의 ..

의학 2025. 7. 19. 20:20

T세포 내 대사 경로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T세포 기능과 대사의 긴밀한 연결고리

① T세포 대사 경로의 기본 이해T세포는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림프구로, 감염이나 암세포를 인식하고 제거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T세포가 활성화되면 빠른 에너지 생산과 생합성 대사 활동이 필요해지며, 이에 따라 대사 경로가 재프로그래밍됩니다.주요 대사 경로는 해당과정(glycolysis), 산화적 인산화(OXPHOS), 지방산 산화 등이 있으며, 각 경로는 T세포의 분화 상태와 기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됩니다.② 대사 경로와 T세포 분화의 상관관계보조 T세포(Th1, Th2, Th17)의 활성화는 주로 해당과정을 통한 빠른 에너지 생산에 의존하는 반면, 기억 T세포와 조절 T세포(Treg)는 산화적 인산화와 지방산 산화를 주 에너지 원으로 활용합니다.이러한 대사 경로 선택은 T세포가 면역 반응..

의학 2025. 7. 19. 05:20

면역 기억의 분자적 기초와 장기 유지 메커니즘– 우리 몸이 한 번 싸운 병원체를 잊지 않는 비밀

① 면역 기억의 개념과 중요성면역 기억은 한 번 감염된 병원체를 신속하고 강력하게 인식해 재감염을 방지하는 면역계의 핵심 기능입니다. 이 과정은 주로 T세포와 B세포의 특수한 ‘기억 세포’에 의해 이루어집니다.면역 기억은 백신의 원리이기도 하며, 우리 몸이 지속적으로 질병에 맞서 싸울 수 있도록 하는 생체 방어의 핵심 기전입니다.② 면역 기억의 분자적 기초면역 기억 세포 형성에는 전사인자, 신호전달 경로, 대사 상태 변화 등 다양한 분자 기전이 관여합니다. 예를 들어, T세포 기억 형성에 중요한 전사인자로는 T-bet, Eomes, Bcl-6, Blimp-1 등이 있으며, 이들은 세포의 분화와 생존에 영향을 미칩니다.B세포 기억은 골수에 존재하는 장기형성형(plasma cells)과 순환하는 기억 B세포..

의학 2025. 7. 18. 20:19

면역관용(Immune Tolerance) 기전과 자가면역질환 예방 전략– 우리 몸이 자기 조직을 공격하지 않도록 하는 면역의 균형

① 면역관용의 정의와 중요성면역관용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자기 자신의 조직과 분자를 공격하지 않도록 ‘자기’를 인식하고 이를 허용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면역계가 외부 병원체를 공격하면서도, 동시에 자신의 세포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 메커니즘입니다.면역관용이 깨지면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1형 당뇨병 등 다양한 만성질환의 근본 원인이 됩니다.② 면역관용 기전: 중앙 및 주변 관용면역관용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뉩니다. 먼저, 중앙 관용(central tolerance)은 흉선이나 골수에서 자기항원에 반응하는 자가 반응성 T세포와 B세포를 제거하는 과정입니다.다음으로, 주변 관용(peripheral tolerance)은 말초 조직에서 자가 반응성 면역세포..

의학 2025. 7. 18. 08:18

마이크로바이옴과 면역계 상호작용의 최신 연구– 장내 미생물이 면역 건강에 미치는 혁신적 영향

① 마이크로바이옴이란 무엇인가?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특히 장내에 서식하는 수조 개의 미생물 군집을 말합니다. 이 미생물들은 소화, 대사, 신경 기능뿐 아니라 면역계 발달과 기능 유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인체 면역세포의 약 70% 이상이 장 점막에 존재하는 만큼, 마이크로바이옴과 면역계는 긴밀히 연결되어 있습니다.최근 연구는 건강한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이 면역 균형 유지에 필수적이며, 균형이 깨질 경우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염증성 장질환 등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있습니다.② 마이크로바이옴과 면역계의 상호작용 메커니즘마이크로바이옴은 면역세포의 분화와 성숙에 영향을 주는 대사산물(예: 단쇄지방산)을 생성하며, 수지상세포 및 T세포와 같은 면역세포를 직접 자극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면..

의학 2025. 7. 17. 21:17

면역 대사(Immunometabolism)와 면역세포 기능의 연관성– 면역세포 활동을 지배하는 대사 경로

① 면역 대사란 무엇인가?면역 대사는 면역세포가 활성화되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생산과 대사 경로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단순히 에너지원 공급을 넘어서, 대사 산물과 경로가 면역세포의 분화, 활성화, 분비 기능을 직접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면역세포는 휴면 상태에서 산화적 인산화(OXPHOS)를 주로 사용하지만, 활성화되면 해당과정(glycolysis)을 빠르게 증가시켜 급격한 에너지와 생합성 물질을 생산합니다. 이런 대사 재프로그래밍은 면역 반응의 강도와 지속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② 주요 면역세포의 대사 특성과 기능T세포, 대식세포, 자연 살해세포 등 각 면역세포 유형은 활성화 시 고유한 대사 패턴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활성화된 보조 T세포(CD4+ T hel..

의학 2025. 7. 17. 08:17

자연 살해세포(NK세포)의 분화 및 활성화 조절 인자– 선천면역의 핵심, NK세포의 생성과 기능 조절

① NK세포란 무엇인가?자연 살해세포(Natural Killer, NK세포)는 선천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림프구의 일종으로,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신속하게 인식해 제거합니다. NK세포는 적응면역계와 달리 항원 특이성이 없지만, 다양한 활성화 및 억제 수용체를 통해 공격 대상을 판단합니다.NK세포는 골수에서 조혈모세포로부터 분화하며, 체내 여러 조직에서 감시자로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② NK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NK세포의 분화는 여러 사이토카인과 성장인자의 영향을 받습니다. 대표적으로 인터루킨-15(IL-15)는 NK세포의 생존, 증식, 분화에 필수적인 신호를 제공합니다. IL-2, IL-7도 NK세포 조절에 보조 역할을 합니다.또한 전사인자 Nfil3, T-bet, ..

의학 2025. 7. 16. 19:1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 22
다음
TISTORY
하와이 여행을 가고싶어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